그 옛날 발해공주가 살았던 발해는 어떤 나라였을까? 말은 많이 들어 보았지만 구체적으로 얘기해 보라고 하면 몇 마디 못하고 주춤하게 된다. 결국 아는 내용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그저 고구려인 대조영이 고구려를 계승하고자 세운 나라가 발해이고 그래서 당연히 한국사이며 거란에 의해 멸망한 후 발해 유민들은 대거 고려로 유입되어 그 명맥을 유지한 것으로 알고 있다.
그 이유는 발해인들이 남긴 역사서가 현존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저 중국인들이 작성한 역사서에 의존하다 보니 분명 우리 역사이지만 남의 나라 역사처럼 생소하게 느껴졌던 것이다.
조선후기 실학자 유득공이 저술한 『발해고』에서 처음으로 남북국 시대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우리 역사에서 발해가 인식되기 시작했다. 현재 우리 역사 교과서에서도 후기신라와 함께 발해를 남북국시대로 서술하고 있다.

▲ 민성욱 국학박사
하지만 주변국들의 입장은 우리와는 사뭇 다르다. 중국은 동북공정의 일환으로 발해사를 중국의 소수 민족인 말갈족이 세운 중국 지방 정권의 역사로 본다. 러시아는 발해를 말갈의 나라로 본다. 즉 중국에도, 한국에도 귀속되지 않는 제3의 나라로 보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일본은 만주를 지배하기 위해서 만주족의 전신인 말갈을 연구하였고, 이러한 과정에서 만주국을 세우면서 일본인들이 만들어낸 사관이 바로 만선사관이었다. 이러한 만선사관은 20세기 초에 일본 학자들에 의해 주장된 한국사에 대한 관점으로, 만주와 조선의 역사는 하나이며, 한반도의 역사와 문화는 만주에 종속적임을 그 내용으로 한다. 이러한 만선사는 중국의 만주에 대한 영향을 제한하였고, 한국 문화의 독자성과 주체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이는 한반도와 만주 침략을 정당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발해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발해와 말갈의 관계를 먼저 풀어야 된다. 그 동안 우리 학계에서는 발해의 종족 구성을 설명할 때 지배층은 고구려 유민들이었고, 피지배계층은 말갈족이었다고 했다. 즉 종족 구성을 이원화 구조 속에서 이해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당대의 기록이라고 할 수 있는 『구당서』와 『신당서』는 발해를 세운 대조영의 출자를 각기 달리 말하고 있다. 『구당서』는 대조영을 고려의 별종, 즉 고구려 별종이라고 했고, 『신당서』는 대조영을 속말 말갈인이라고 했다. 동 시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는 역사서의 내용이 이처럼 다를 수 있을까? 어쩌면 이것은 둘 다 맞는 말일 것이다. 고구려계 말갈인이 그것이다. 당시 부여 지역이었던 속말수 지역의 말갈족인 속말 말갈은 다른 지역의 말갈과는 다르게 일찍이 고구려에 편입되어 고구려인이 되어 있었다. 당시 고구려의 영토였던 만주지역에는 광범위하게 말갈족들이 분포하고 있었고, 그러한 말갈족들은 크게 예맥계와 숙신계로 나뉘어져 있었다. 예맥계는 앞서 언급한 속말말갈과 백산만갈 등이 있었고, 숙신계는 대표적으로 흑수말갈이 있었다.

고조선이 붕괴되기 전 종족 구성은 크게 동호계, 숙신계, 예맥계로 분류할 수 있었고, 고조선이 붕괴되면서 여러 나라들, 즉 열국들이 등장하면서 크게 부여계와 진계로 다시 재편되게 된다. 부여계는 부여, 고구려, 백제 등이 있었고, 진계에는 옥저, 동예, 삼한, 말갈 등이 포함된다. 대조영이 처음 나라를 세우면서 국호를 대진국이라고 한 것은 진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예로부터 진국은 동방을 의미했기 때문이다.
대조영 출자에서 언급했던 속말말갈은 부여계로 고구려와 그 계통이 갔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고구려의 별종이자 속말 말갈인이라고 했던 것이다. 이제 말갈이라고 해서 이민족 오랑캐로 취급하면 곤란해진다. 특히 한국사로 알고 있던 발해사가 이상해지는 것이다. 발해사를 온전하게 한국사로 편입하려면 그전에 말갈부터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말갈을 다시 살펴보고자 한다. 만주지역에는 그 동안 수많은 종족들이 존재했다. 그 중 가장 오랜 기간 머물렀고 가장 넓게 분포했었던 종족은 단연 말갈족이다. 지금의 만주족 선조가 말갈족이며, 아직도 말갈족 후예들이 만주나 연해주 지역 곳곳에 그들의 전통을 보존하면서 살고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지금은 러시아의 영토이지만 과거 발해의 영역이었던 연해주 지역에는 말갈의 후예로서 옛 수렵방식을 고수하면서 살아가는 소수 종족들이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종족이 우데게족이고 나나이족이다. 우데게의 우데와 나나이의 나이는 그들의 고유한 언어로는 사람들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즉 그 지역에 오래 동안 살고 있는 토착민들을 의미하는 말이다.
그들은 말한다. “결코 중국인들과는 다른 종족이며, 말갈인으로서 고구려와 발해시대에 고구려인들과 발해인들과 함께했던 역사를 기억하고 있다. 함께 소통하고 교류하였던 역사는 발해가 멸망한 후에 사라졌다고 한다.”

역사는 소통하고 교류하기 위해서 존재한다. 우리의 역사는 어떻게 소통하고 교류해 왔는가를 살펴보는 것도 의미있는 일이 될 것이다. 고구려와 발해는 둘 다 다종족 국가이고, 대제국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었다. 그래서 특정 종족만이 고구려와 발해를 구성한 것이 아니었고, 다양한 종족들이 함께 어우러져 하나의 문화를 창조했다. 그것이 당시 동북아의 패권을 장악하고 있었던 고구려의 문화이고, 해동성국으로서의 면모와 위상을 갖고 있던 발해의 문화이었다.

그래서 말갈과 고구려 그리고 그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와의 관계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가 동북아시아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관건이 된다. 그것을 제대로 설명하려면 우선 발해와 말갈 간의 관계 정립이 우선이다. 왜냐하면 발해와 말갈 간의 관계 정립이 되면 발해는 고구려를 계승했으므로 고구려와도 같은 관계가 성립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좀 더 확장하면 부여 계통(고구려, 백제, 발해 등)과의 관계가 정립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현재 고구려와 발해의 옛 영토는 중국, 러시아, 북한 등 3개국에 걸쳐 있다. 그래서 서로 자국의 역사로 주장하고 있는 것이고, 한국에서도 한국사로 인식하고 있다. 다만 한국사로 인식하기까지는 많은 논란이 있었고 지금도 여전히 논란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그래서 여전히 역사 귀속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중국은 자국 영토 내의 55개의 소수민족의 역사를 모두 중국의 역사를 편입시켰다. 그러한 일련의 공정들 중 하나가 동북공정이었다. 이미 동북공정은 끝났고 고구려사와 발해사를 중국의 역사로 편입시켜 가르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우리 역사를 어떻게 지켜낼 수 있는가? 지극히 역사인식의 문제라고 할 수 있지만 단순히 역사인식만의 문제는 아니다. 국가의 생존 전략과도 연결되어 있다.

왜 요즈음 고대사가 중요시 되고 있는가? 뿌리 역사이자 국가 정체성의 근원이 되기 때문일 것이다. 시간여행을 하듯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발해 시대에 살고 있는 당시 발해인들과 말갈인들을 만나 발해와 말갈의 관계를 물어보면 분명 이렇게 말할 것이다. “渤海如靺鞨”

단기 4348년 3월 10일
국학박사 민성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