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고금을 통하여 인사는 모든 예절의 기본이다. '인사(人事)'란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사람 사이의 일’을 뜻한다. 사람을 만나 가장 먼저 하는 것으로, 인사를 함으로써 서로를 인지하고 소통을 시작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동방예의지국(東方禮義之國)'이라 하여, 서로에게 예의와 존경을 갖춘 생활을 삶 속에서 실천했다. 특히 우리 민족에게 인사란 단순한 소통이 아니라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존경심과 반가움의 표현이었다. 우리말의 기원을 찾아보면, 선조들이 인사말을 통해 어떻게 상대방을 귀하게 대하고 존중하였는지를 알 수 있다. 
 
당신은 하늘 같이 밝고 큰 존재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인사말이 ‘안녕하십니까’ 이다. 안녕하십니까 의 ‘안녕(安寧)’은 편안한 안(安), 편안할 영(寧)으로, '당신은 편안하십니까, 걱정없이 무탈한가, 건강한가' 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또 다르게, '안녕'은 편안할 안(安) 영혼 영(靈)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영은 다른 말로 영혼, 정신을 나타난다. 그래서 ‘당신의 영혼은 편안하십니까. 정신차리고 있습니까’를 묻는 말이다. 이럴 때는 단순히 상대방에게 안부를 묻는 것이 아니라 본래 정신을 차리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말이다. 이는 인간 안에 고귀한 영혼을 바라보고 이를 존중하는 표현이다.  
 
이외에도 우리가 흔히 쓰는 인사말 중에 ‘반갑습니다’ 와 고맙습니다‘ 가 있다. 
 
‘반갑습니다’에서 반은 ‘신’ ‘하느님’과 같은 뜻으로 ‘반갑다’는 ‘반과 같다’ 즉 ‘당신은 신과 같다’는 의미다. ‘반갑습니다’ 하고 인사하는 것은 ‘당신은 하늘의 신과 같이 크고 밝은 존재입니다’ 라는 찬사를 보내는 셈이다. 
 
▲ 우리말 '고맙습니다' 의 의미 [삽화 제공=한문화]
 
‘고맙습니다’도 비슷한 의미를 갖고 있다. ‘고맙다’의 ‘고’는 높은 산을 가리킨다. ‘고’에 여성을 뜻하는 ‘마’가 붙으면서 ‘고마’는 여신, 풍요를 상징하는 땅의 신(지모地母신)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서로 도움을 받으면 ‘고맙습니다’ 라고 인사를 하는데, 이는 ‘고마와 같습니다’  ‘당신은 신과 같은 사람입니다’ 라고 고개를 숙이는 것이다. 
 
인도나 네팔 지역에서는 상대방과 인사를 나눌 때 ‘나마스테 Namaste'라고 하면서 두 손을 가슴 앞에 모은다. 나마스테는 ’내 안의 신이 당신 안의 신에게 경배합니다‘라는 의미라고 한다. 이 인사말의 의미를 아는 사람들은 고귀한 인사라며 탄복한다. 그러나 우리의 인사말은 더 깊은 존중과 축복을 담고 있다. 
 
‘안녕하십니까’ ‘반갑습니다’ ‘고맙습니다’ 라는 말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우리말의 핵심은 인간 안에 고귀한 영혼이 있고 이를 ‘신’과 같이 대한다는 점이다. 자기 자신을 일컫는 ‘나’라는 말도 태양을 뜻하는 고대어 ‘라’에서 비롯되었다. 인간을 태양같이 밝은 신성을 지닌 존재로 여겼기 때문에, 자기 자신을 일컬어 ‘나(태양)’라고 하고, 다른 사람들도 나와 다름없는 존재로서 존중한 것이다. 
 
혙통과 민족을 넘어 모든 사람이 ‘반’과 같고 ‘고마’와 같다는 의식이 우리 정신문화를 관통하고 있다. 남과 더불어 조화롭게 살아가는 의식, 사람을 신과 같이 여기는 마음이 우리말 속에 담겨 있다. 
 
요즘 가정만이 아니라 학교에서도 바르게 인사하는 학생들을 찾기가 어렵다. 직장에서도 예의상의 인사만을 주고받을 뿐이다. 그러나 인사말의 소중한 의미를 제대로 안다면, 말 한마디에 정중함과 예의, 감사한 마음을 담게 된다.   
 
사람을 만날 때 이런 존경의 마음을 담아 인사를 나누어 보자. 말의 인격이 높아짐에 따라 서로의 인격이 높아지는 느낌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참고. <행복의 열쇠가 숨어있는 우리말의 비밀> (이승헌 저, 한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