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의 역사 갈등이 첨예하다. 이를 100년 전 제국주의 시대에서 찾는 책이 나왔다. 동북아역사재단에서 펴낸 『제국주의 유산과 동아시아』이 그것이다.

이 책은 제국주의에 관한 본격 연구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한 학자 7인이 소규모 모임으로 출발했다. 제국주의 이론과 해석, 제국 열강의 동아시아 팽창정책의 개별 사례, 문화 제국주의로서 식민지 과학에 이르기까지 제국주의의 다양한 모습을 고찰한다.

이근욱 서강대학교 교수는 “지금까지 연구는 제국주의 강대국 사이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어 약소국의 상황에 대해서는 크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라며 “제국주의 국가들에 식민지 보유 등의 대외팽창이 과연 이익이 되었는지를 검증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덕규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올해 130주년을 맞는 영국의 거문도 점령 사건에 주목했다. 최 위원은 영국이 거문도 철수조건으로 제기한 ‘한국의 독립과 영토보전을 위한 국제협약’이 불발로 끝나고 한국이 위기를 맞았다는 것이다. 1886년 영국은 영국, 중국, 러시아, 일본이 참여하는 국제회의를 개최했다. 조선의 영토보전에 관한 국제합의를 도출할 경우 철수하겠다고 하였다. 그러나 러시아는 한반도 부동항 획득정책을, 청국은 대조선 속방화 정책을, 일본은 정한론을 포기하지 않아 한반도가 근대 동아시아 전쟁의 무대가 되었다는 것이다. 최 연구위원은 영국의 제안이 실현되었다면 고종이 추구했던 조선의 중립을 국제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도서문의(02-2012-6087)

이어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가 펴낸 『한국독립운동사자료총서』 제35집이다. 이 책은 한국광복군 관련 자료집으로 중국 지역에서 수집한 사료를 영인하여 번역본과 함께 수록했다. 1940년대 한국광복군 관련문서를 비롯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 관련문서, 중국정부의 대한교민 정책 관련 문서, 중한문화협회 관련 문서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연구소 관계자는 “중경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 대한교민 관련 문서는 독립운동사는 물론 한중관계사와 이주 동포의 생활사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도서문의(041-560-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