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0~30대 젊은 층 사이에서 고도비만이 급격하게 늘며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15일 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02~2013년 일반건강검진 1억 건 빅데이터 자료에 따르면, 이 기간 내 고도비만율은 2.5%에서 4.2%로, 초고도비만율은 0.2%에서 0.5%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은 지방세포의 과다한 분화와 에너지 과잉 공급으로 생긴다. 문제는 비만이 비만으로 그치지 않는다는 데 있다. 이는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될 뿐 아니라 정신적 질환까지 유발할 수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특히 고도비만은 다양한 질환을 일으켜 수명을 최대 14년까지 단축시킬 수 있다.

비만은 패스트푸드, 육식 위주 식사에서 오는 생활습관병이다. 예전보다 고열량 음식이 많아져 에너지 섭취는 늘었으나 신체활동량 감소로 에너지 소비는 오히려 줄었다. 비만에서 벗어나려면 무엇보다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의 생활습관 관리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음식은 하루 총 섭취 칼로리에서 500kcal를 줄이면 일주일에 체중이 약 0.5kg 감소할 수 있다. 다이어트는 무리하면 오히려 역효과를 내므로 적당히 조절하되 운동과 병행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운동으로는 최근 다이어트 및 기혈순환 효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접시돌리기'도 좋다.

하지만 개인 차원의 비만 관리는 한계가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사회적 차원의 비만 예방이다. 소아비만율이 2008년 11.2%에서 2012년 14.7%로 매년 늘고 있다. 소아비만은 70~80% 가량이 그대로 성인 비만으로 이어진다. 부모와 아이에게 '비만은 건강의 적'이라는 것을 인식시키고 더욱 적극적으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럴려면 비만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정책이 필요하다.

미국 오바마 행정부는 2010년 미셸 오바마의 소아비만과의 전쟁 선포 이후 '레츠 무브(Let's move)'라는 캠페인을 시작으로 학교 내 정크푸드 광고를 금지하고 있다. 프랑스, 영국, 헝가리 등의 국가에서는 탄산음료나 고칼로리 가공식품에 비만세를 부과해 건강유해식품에 의한 비만위험 감소에 노력하고 있다.

건강보험공단은 이번 하반기 비만 문제 해결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건보공단은 건강검진 문진표에 정크푸드 섭취 빈도 등의 설문항목을 추가하는 방안, 원스톱 비만관리 종합 사이트 구축, 개인맞춤형 프로그램 및 인센티브 제공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이번 검토안이 정책으로 이어져 제대로 된 비만 방지 효과를 내야 한다. 말만 요란한 공염불 정책이 되지 않도록 지켜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