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아베 정권의 역사 인식과 한일관계'(제공=동북아역사재단)

일본 아베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독도 영유권 도발, 일본군 위안부 문제 왜곡 등이 심각한 가운데 이를 진단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한 연구서 '일본 아베 정권의 역사 인식과 한일관계(동북아역사재단)'가 출간됐다.

이 책은 지난해 4월 30일 동북아역사재단에서 열린 긴급 학술토론회 '일본 아베 정권의 역사 인식과 그 문제점'에서 발표된 논문을 수정·보완하고 새로운 논문을 추가해 발간했다. 진창수 세종연구원 일본연구센터장을 비롯한 연구자 7명의 글이 수록됐다.

진창수 센터장은 '일본 정치권의 변화와 아베 정권의 역사 인식'에서 경색된 한일관계의 해법으로 ▲박근혜 정부의 5년을 생각하는 단계적이고 기능적인 접근, ▲미래지향적 한일관계의 청사진을 만드는 노력 지속, ▲한일 양국에 묻히지 않은 동아시아 지평에서의 대일 외교 등을 주장했다.

하종문 한신대 교수는 '무라야마 담화의 의미와 아베 정권'에서 최소한의 안전판인 무라야마 담화는 승계 여부에 안주할 수 없다고 역설했다. 하 교수는 담화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일본 평화헌법과 적극 연동, 이해도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진우 숙명여대 교수는 '야스쿠니 문제의 논리적 비판을 위하여'에서 "야스쿠니 신사 실증 연구를 위해 근대 일본의 대외 침략전쟁에서 국가와 천황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해야 한다"라며 "단지 'A급 전범'을 분사하는 것만으로 야스쿠니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고 지적한다.

이밖에 '일본 중·고교 역사교과서의 일본군 '위안부' 기술 추이와 전망'(서현주 재단 연구위원), '아베 총리의 '침략' 부정과 식민지 책임'(도시환 재단 연구위원),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과 헌법 개정'(최운도 재단 연구위원), '한일 양국 역사갈등 해소의 모색과 그 방안'(장세윤 재단 연구위원) 등이 있다.

이 책을 펴낸 김학준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은 "최근 일본의 우경화 행보와 역사 인식 퇴행이 심각한 상황에서 아베 총리와 정권이 보여주는 역사 인식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우리의 대응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며 "이 책이 지금의 한일관계를 진단하고 당면한 현안 해결에 이바지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