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낮 도심 속 흉악범죄가 빈번해지면서 기본적인 안전에 대한 국민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다행스럽게도 내년 하반기부터는 전국 지역별로 경찰서·소방서·CCTV 등 안전시설의 위치와 범죄발생 지역의 영향권을 분석한 생활안전지도가 공개된다.

 안전행정부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안전정보통합관리시스템 및 국민생활안전지도 시범구축 사업’을 시작한다고 28일 밝혔다.  안전정보통합관리시스템은 그동안 부처별로 개별 관리되고 있던 재난·교통·생활안전사고 및 범죄정보 등 다양한 안전정보를 통합데이터베이스(DB)로 만들어 국민 생활안전에 필요한 정보를 인터넷이나 모바일을 통해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 안전취약구역과 안전우수구역 정보의 종합분석 결과를 토대로 안전경로 안내 예시 [제공=안전행정부 안전정책과]

 제공되는 대표적인 서비스는 ▲생활안전지도(인터넷·스마트폰) ▲안전지수 ▲안전한 지역만들기 포털 ▲지역 안전진단 및 컨설팅 ▲재난예측·분석 기능 등이 있다. 생활안전지도는 올해 4대 분야(범죄·재난·교통·생활안전)에 대해 10여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시범 구축하고 내년 상반기에 시범서비스를 개시, 하반기에는 전 지역으로 범위를 확대해 공개할 예정이다.

 생활안전지도가 구축되면 어린이들에게 안전한 등하굣길을 안내하거나 여성이 밤길을 편안하게 다닐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자치단체나 경찰서가 지역의 사고 위험시설을 개선하거나 위험지역의 순찰을 강화하는데 필요한 정보도 함께 제공된다.

 안전지수는 올해 유형별(범죄·재난·교통 등)로 핵심 안전지표를 지수화해 개발하고 내년에 시범 시군구에 먼저 제공해 보완을 거친 후 2015년부터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공개할 방침이다. 안전행정부는 이번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2015년까지 단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올해에는 25억원을 투자해 ISP와 시범구축을 추진하고 2015년까지 약 200여억원을 투자해 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유정복 안행부 장관은 “이 시스템이 구축되면 자치단체 별로 종합적인 안전정보를 바탕으로 안전대책을 시행할 수 있어 국민의 생활 안전도가 크게 높아질 것”이라며 “앞으로도 안전정보 공유 및 기관간 협업을 통해 국민이 체감하는 안전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보완·발전시켜 국민의 행복과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