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교육부(장관 서남수)는 지난 8일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역사교육 강화 방안' 마련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 주제인 '역사 교육의 중요성과 강화 방안' 과 관련하여 최상훈 서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가 발제는 맡았다. 최 교수는 "모든 학문이나 교과가 나름대로 유용성과 중요성을 주장할 수 있지만, 사람을 사람답게 만들고 지혜롭게 만드는 데 역사보다 더 효과가 있는 학문이나 교과가 있겠느냐"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역사 교육의 중요성을 다른 사람의 말의 인용하여 대신하겠다"며 " 역사가 없는 곳에는 노인도 어린아이와 마찬가지다"라고 말했다.

최 교수는  역사교육 강화 방안으로 거시 차원과 미시 차원 접근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거시 차원의 역사교육 강화 방안으로  ① 학벌위주의 사회구조 개혁 , ②취업과 실용만 강조하는 사회분위기와 교육정책의 전환  ③국가수준의 교육과정 개정, ④학습부담 감소라는 허울 제거, ⑤역사과의 독립과 필수화, ⑥교과서의 다양화와 검정제도의 개편을 제시하였다. 

그는 미시 차원에서  ① 한국사 수능 필수화 방안으로 정부가 검토중인 '한국사 수능 필수과목화'와 '한국사능력검정시험결과 활용(고등학교 재학 중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 응시하고 그 결과를 대입전형 자료로 활용하는  방안)을 현실성 있고 쉽고 추진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②역사탐구교실의 확대 설치와 수업방식의 다양화,   ③공무원과 교원 대상 역사교육 연수 강화 방안을 제시하고 대학에서 한국사를 필수화하거나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 통과해야 졸업하도록 규정하고 각종 임용시험이나 대기업 채용시험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등급을 반영하는 방안, 역사 교과서 용어의 어려움과 내용 분량의 과도함을 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일부에서 '평가 중심의 수업방식' '사교육비와 학습 부담의 가중' '한국사의 암기 과목화' 등을 이유로 한국사 수능 필수화  반대 주장의 중요한 논거가 되는지 의문이라며 이는 한국사 수능 필수화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 공교육의 전반적인 문제라고 지적했다. 

토론자인  진재관(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위원은 "역사교육 담당자들이 분발하여 역사 과목을 공부하고 싶어 하는 과목으로 만들어야 하고, 국가 정책적 차원에서 학생들이 역사 과목을 공부한 것에 상응하는 이로움을 주어야 함"을 역사교육 강화의  방안으로 제안했다. 

  손승철 강원대 교수는 "역사과 독립, 수능 반영 필수는 적절 하며 중ㆍ고교는 물론 대학 교양 과목 필수화가 한국사 소양 교육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손 교수 역시 공무원 시험이나 각종 국가고시, 공기업이나 대기업에서도 한국사 능력시험 등을 반영하여 범 국민적으로 역사 교육 또는 한국사에 대한 소양을 늘려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홍갑(국사편찬위원회)편사부장은 "고등학생을 위한 별도의 표준화된 시험을 입시에 반영,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다양한 수업 형태 개발"을 학교 역사교육 강화 요인으로 손꼽았다. 

 민병관(청량고)교장은 "한국사를 수능 탐구영역에서 분리하고, 인문ㆍ사회계열 지망학생 뿐만 아니라 자연ㆍ이공 계열이나 예체능계열 학생들도 모두 응시하고, 교육청 차원에서 논ㆍ서술형 문항 출제 비중 대폭 확대 및 학생들의 역사관련 동아리 활성화 지원"하는 것 등을 제안했다.

 김무성(한국교총)대변인은 "한국사를 수능시험 사회탐구 영역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수능필수 과목으로 지정 하고, 고교 한국사 수업시수를 늘리지는 않되 집중이수제에서 제외하여 지속적으로  교육을 받도록 하는 것"이 대한민국 정체성 찾기의 출발점이라고 하였다.

 교육부는 역사관련 단체 관계자, 현장 역사 교사 등 전문가의 의견을  계속 듣고 ,  이번 토론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검토, 보완하여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