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 추진한 새마을운동에 관한 기록물이 유네스코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됐다. 새마을운동기록물은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들이 1970년부터 1979년까지 추진한 새마을운동 과정에서 생산된 대통령의 연설문과 결재문서, 행정부처의 새마을 사업 공문, 마을단위의 사업서류, 새마을지도자들의 성공사례원고와 편지, 시민들의 편지, 새마을교재, 관련 사진과 영상 등 약 22,000 여건의 자료를 총칭한다.

새마을운동기록물 자료 목록 은 1) 대통령비서실이 생산한 기록물 2) 중앙, 지방 행정부처가 생산한 기록물3) 마을 단위의 새마을운동기록물 4) 새마을지도자들의 성공사례, 편지 5) 시민·단체·기업들의 편지, 기증서6) 새마을지도자연수원 생산 기록물 등이다.

새마을운동 기록물은 세계기록유산으로 어떠한 가치가 있나? 문화재청의 자료를 통해 알아본다.

■ 진정성(眞正性), 새마을운동 전모 보여주는 자료
새마을운동기록물은 정부와 주민이 협력하여 빈곤퇴치, 생활환경 개선, 영농의 과학화, 정신혁명, 리더십 개발, 여성의 사회참여 증진 등을 성공적으로 달성한 한국 근대화의 증언이다. 1970년부터 1979년 사이 중앙 및 지방 행정부처가 생산한 기록물은 대한민국 국가기록원에서 통합 보존하고 새마을지도자연수원, 새마을지도자, 마을 등이 생산한 기록물은 새마을운동중앙회에서 수집, 보존한다.  이 기록물은 새마을운동을 어떻게 계획하고 진행했으며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가를 사실 그대로 보여주는 원본이며 1차 자료이다.

■ 독창성 및 비대체성
일본 식민지배와 한국전쟁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은 괄목할 만한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동시에 이룬 세계 유일의 국가이며 많은 개발도상국들은 한국식 발전 모델을 학습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의 첫 걸음이 새마을운동이었다. 대한민국은 새마을운동을 통해 빈곤퇴치, 농촌개발, 경제발전 등을 이룩했다. 특히 농가소득은 1970년 825달러에서 1979년 4,602달러로 급속히 향상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근면·자조·협동의 새마을정신이 마을주민들 사이에 확산하였으며, 위생환경·생활공간·농업시설 등 농촌사회의 생활구조가 크게 변화되었다. 새마을운동은 당시 최빈국 중 하나였던 대한민국이 세계 10대 경제대국으로 올라서는 발판 역할을 했다. 이러한 경험은 인류사의 소중한 자산이다.
새마을운동기록물은 전국 34,000 여 개의 마을에서 전개된 농촌근대화에 관한 종합적 기록이다. 이 기록물들에는 빈곤퇴치, 마을환경 개선, 새마을정신개발, 농촌여성의 사회참여 확대, 주민들의 리더십 개발 등이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다. 새마을운동기록물은 빈곤퇴치와 농촌개발을 위해 노력하는 국제개발기구와 개발도상국가들에게 매우 귀중한 자원이다. 이미 1970년대부터 2011년까지 129개 국가 53,000 여명이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새마을교육을 받았을 뿐 아니라 UN세계식량기구와 UN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 등은 빈곤퇴치모델로 새마을운동을 채택하였다. 또 2010년까지 18개 국가에서 157개의 새마을사업이 전개되면서 이 운동관계자들이 새마을운동기록물을 새마을운동의 학습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 세계적 중요성, 농촌 문제 해결 국가 발전에 기여한 성공사례
새마을운동은 농민의 적극적 참여와 정부의 지원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민관협력의 성공 모델이다. 새마을운동을 통해 대한민국은 농촌의 빈곤 극복, 과학영농 실현, 여성의 지위 향상, 농촌근대화 등을 짧은 시간 안에 달성하였다. 추진 과정에서도 마을 주민들이 모두 참여하는 총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주민의 참여의식을 높여 마을의 민주화를 앞당겼다. 특히 전국의 34,000여 개 모든 마을에 여성 지도자들을 한 명씩 자율적으로 선출하여 여성들의 사회참여를 촉진하고 여성 리더십 개발에 기여했다. 이에 따라 새마을운동은 농촌 문제를 종합적으로 해결하고 국가발전에 기여한 성공 사례로 국제사회에서 주목 받고 있다. 새마을운동은 세계 최빈국이었던 대한민국이 세계 10대 경제대국으로 성장하는 발판이었으며 인류사의 중요한 경험이다.

새마을운동기록물은 기아 극복, 빈곤 퇴치, 농촌 개발, 여성 지위 향상 등을 추구하는 국제개발기구, 개발도상국가와 그 국민들에게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새마을운동기록물에 담겨져 있는 주민 참여에 의한 농촌개발은 국제사회로부터 효과적인 빈곤 퇴치 방안이자 대외원조의 대안으로 인정받고 있다. UN 세계식량계획(UNWFP)은 2011년 5월 대한민국 정부와 MOU를 체결하고 르완다와 네팔에서 ‘새마을사업(Saemaul Project: Food for New Village)’을 실시하기로 했으며 UN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UNESCAP)는 2001년부터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에서 파일럿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UN 세계관광기구 스텝재단(UNWTO ST-EP FOUNDATION)도 2009년부터 아프리카 빈곤퇴치 사업으로 탄자니아와 우간다에 한국형 밀레니엄 빌리지 조성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정부와 새마을운동중앙회는 국제개발원조의 모델로서 새마을사업을 실행하고 있다. 새마을운동중앙회는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많은 국가를 대상으로 농촌개발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한국의 대외무상원조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KOICA)은 캄보디아, 르완다 등에 새마을 시범마을을 지정하여 마을환경개선사업과 소득증대 사업을 펼치고 있다.

새마을운동기록물은 대한민국 각지의 역사관과 전시관에 전시되거나 화보, 영상, 책자 등으로 제작되어 국제 교육과 교류 사업에 활용되고 있다.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129개 국가 53,000 여명이 새마을교육을 받고, 2010년까지 18개 국가에서 157개의 새마을사업이 전개되면서 새마을운동기록물은 이들을 위한 생생한 교육 교재 및 참고 자료가 되고 있다.

1. 시간(Time)
새마을운동기록물은 1970년부터 1979년까지 전개된 대한민국의 농촌근대화 과정을 기록한 역사적 자료이다. 새마을운동기록물은 1960~70년대 제3세계국가들에서 전개되었던 빈곤 극복, 농촌 부흥, 지역개발 등 경제개발의 시대적 흐름 속에서 '잘 사는 농촌'을 실현했던 성공 사례를 담고 있는 자료이다.

2. 장소(Place)
새마을운동기록물은 식민지배, 한국전쟁, ‘오일 쇼크’, 남북한 대치, 극심한 식량부족 등으로 인해 빈곤의 악순환에 빠져있던 대한민국의 34,000여 개 모든 농촌 마을에서 전개된 농촌발전의 역사적 기록이다.

3. 사람(People)
새마을운동기록물은 가난과 역경을 극복한 농촌마을 주민들의 성공 스토리이자 국가최고지도자의 열정과 공무원들의 헌신에 관한 기록이다. 빈곤과 저학력의 농민들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체념하지 않고 새마을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영농의 과학화와 소득증대, 주거환경 개선 등을 통해 자신들의 운명을 개척했다. 수많은 농민들이 자신의 성공 스토리를 다른 농민들에게 전파하는 지도자가 되었으며 나아가 학생·시민·공무원 등에게 새마을운동을 교육하는 시민교육자가 되기도 하였다.

과거 마을의 의사결정에 참여하지 못하던 여성들과 하층민들도 새마을지도자가 되거나 사업의 적극 참여자가 되어 마을 평등화에 기여하였다. 특히, 가난 극복에 대한 국가최고지도자의 의지는 연설문 원고와 대통령비서실 문서 곳곳에 남겨진 친필 메모 등을 통해 나타나고 있으며, 마을 주민들과 함께 사업을 펼쳤던 공무원들과 농협 직원들의 노력은 각종 사업보고서와 마을 자료 등에 담겨져 있다.

4. 대상 및 주제 (Subject and theme)

1) 소득 향상과 과학 영농
새마을운동기록물은 공동작업 도입, 농로 개선, 경지 정리, 농기계 도입, 신 농법 확대 등으로 농가소득 향상과 과학 영농을 실현한 농촌발전사에 관한 기록이다.

2) 의식개혁과 정신혁명
정신혁명 없이 새마을운동의 성공은 불가능했다. 새마을운동기록물은 농민, 여성, 새마을지도자 등에게 다양한 교육기회를 제공하여 의타주의와 운명주의에서 벗어나 주인의식과 개척정신을 불러일으킨 의식개혁과 정신혁명에 관한 기록이다.

3) 주민 참여형 지역발전
새마을운동이 성과를 거두고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주민들의 능동적 참여와 자조 정신 때문이다. 새마을운동기록물은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로 이룩한 마을발전의 기록이다.

4) 여성의 사회 참여 확대와 지위 향상
농촌 여성들은 과거의 관습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새마을운동에 참가했다. 남녀차별로 마을회의에서 제외되었던 여성들도 발언권과 투표권을 행사하고 새마을지도자로 선출됨으로써 농촌 여성들의 사회참여가 확대되고 지위가 크게 향상되었다.

5. 형태 및 스타일(Form and style)
문서자료, 녹음테이프, 사진 및 영상자료(릴 테이프), 원고 등의 형태로 보존되고 있다.

6. 사회적/의식적/공동체적 중요성(Social/spiritual/ community significance)
새마을운동이 대한민국의 농촌근대화를 이끌 수 있었던 것은 ‘잘 살아 보자’는 농민과 농촌의 사회경제적 열망과 자발적 참여 때문이었다. 농촌사회의 열망과 참여는 단순히 개인과 가정의 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잘 사는 마을 건설을 위한 노력으로 이어졌다. 새마을운동기록물은 마을 발전을 위해 노력했던 농민과 농촌의 모습을 담고 있는 마을 공동체에 관한 역사적 기록이다.

■ 희귀성

새마을운동기록물은 대통령, 정부 각 부처, 교육 기관, 마을지도자, 주민 등 다양한 운동 주체가 직접 생산한 종합적인 농촌근대화의 기록이다. 여기에는 대통령의 연설문 원고와 서명이 수록된 행정문서, 농민들이 작성한 회의록, 새마을지도자들의 원고, 시민들의 편지 등 작성자들의 친필로 쓰여진 자료들이 원본 그대로 보존되고 있다. 이러한 자료들은 다양한 시각에서 운동의 진행과정과 그 성공요인을 바라볼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정책 결정권자, 연구자, 마을 발전을 희망하는 주민 등이 참고할 수 있는 기록물이다. 따라서 세계적으로 유사한 사례와 자료가 없기 때문에, 새마을운동기록물이 훼손되거나 없어진다면 농촌근대화를 추구하는 국제사회의 심대한 손실이 될 것이다.

■원형성
대한민국 국가기록원과 새마을운동중앙회에 의해서 수집된 자료들은 원형 그대로 보존·관리되어 있다. 국가기록원은 대통령비서실과 행정부처 등 국가기관이 생산한 자료, 박정희 대통령의 친필 원고 등을 원본 그대로 소장·관리하고 있다. 새마을운동중앙회는 새마을교육과 관련해 새마을지도자연수원 이 생산한 자료를 보관하고 있으며 전국의 대표적인 성공 마을들의 기록물도 소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