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글은 제6회 한민족 역사·문화 청소년 글짓기 논술대회에서 초등부 장려상을 받은 전진 학생(거제중곡초 6)의 글. 국학운동시민연합과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공동 주최한 이번 논술대회에는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전국 초·중·고등학교에서 총 816명이 참가했다.
-----------------------------------------------------------------------

 옛날에도 논란이 되었고, 지금도 논란이 되고 있는 독도문제가 빨리 바른 역사로 증명되어지길 간절히 바랍니다.

 제가 본 책인 한국인의 고함이라는 책 중에는 이런 글이 있습니다.

 ‘일본은 독도가 자기네 영토라는 망언을 잊을 만하면 입에 담곤 한다. 최근 일본은 독도 문제로도 모자라 울릉도에 대한 행정적조사도 해야겠다며 울릉도가 한국의 영토로 편입돼있는 역사서들의 기록을 인정할 수 없다는 망언까지 서슴지 않고 있다.’

 책에서 말하듯이 일본은 독도를 다케시마라 하며 그렇게 지도에 표시를 하고 울릉도까지 노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일본도 중국도 자기 땅, 자기 역사가 아닌데도 자기 것으로 만들려고 가르치고 돈을 쏟아 붓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우리 것을 지키고 보존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 우리는 우리 것을 지킨다는 의미를 분명히 알아야 할 때 인 것 같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 역사인데도 관심 없는 사람들이 많은데, 일본이나 중국은 다른 나라 땅이나 역사를 빼앗으려면, 그래도 그 땅이나 역사에 대하여 많이 알아야 하는데, 그렇게 많이 빼앗은 것을 보면 우리보다 우리나라 역사를 더 많이 알고 있다는 씁쓸한 느낌마저 들게 되었습니다. 그러니 우리가 좀 더 자세히 알아야 합니다. 다른 나라가 우리나라역사를 우리나라 사람보다 많이 알고 있다는 것이 얼마나 부끄러운 일입니까? 그리고 우리가 일본에 독도가 우리 땅이라는 확실한 증거를 찾고 일본이 독도를 자국의 국유재산 대상에서 제외를 하면 뭐합니까? 우리나라 사람들이 잘 알지도 못하고 독도는 이제 우리 땅이네? 라고만 생각을 하고 만다는 것이 문제죠.

 또 일본에게 악감정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일본이 이렇게 말하고는 언젠간 또 다시 독도가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거나 아니면 땅은 우리 것이지만 일본인들이나 다른 나라는 아직도 독도를 일본의 다케시마로 생각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럴 땐 어떻게 하실 것입니까? 그리고 국가도 독도를 지키기 위해 노래를 만들고 알려 지리적 위치도 알게 하고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것을 확실히 인식을 시켰지만 정보만 알린 것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뉴스나 언론에 독도문제가 안 뜬다고 하여 일본이 독도를 노리지 않고 있다거나 독도 문제가 없다거나 그런 것은 아닙니다. 그러니 이슈가 될 때마다 ‘독도가 우리 땅’이라고 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제가 계속 구구절절 이런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이러한 일도 있고 요즘사람들이 그렇고 하니깐 독도를 막연히 우리 땅이라고 뱃길 따라 이백리라고 정보만 알 것이 아니고 일본이 독도를 또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면 화만 내면서 독도는 우리 땅인데 라고 할 것이 아니라 우리 좀 더 독도에 관심을 가지고 자세히 독도를 지킬 수 있을 만한 방법을 찾아서 실천을 해보는 것도 좋다고 느낍니다. 솔직히 청소년들에게 이 시기에 독도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이냐고 물어본다면 대답을 잘 하지 못하는 사람이 대다수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독도를 지키고 싶지 않아 한다는 사람은 없지 않습니까? 우리도 독도를 지키고 싶어 하지 않습니까? 다만 방법을 찾지 않았을 뿐입니다. 그러니 독도를 위해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 실천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제 의견에 대해 도서관으로 예를 들자면 이게 문제고 이게 문제고 이게 문제고 이게 문제에요. 라고 말한들 무얼 합니까? 대안을 내 놓아야 합니다. 이게이게 문제이니깐 이렇게 해 주었으면 좋겠어요. 라고 하는 게 더 구체적입니다. 그러니 우리도 이 예처럼 대안을 내놓자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 대안으로는 독도 관련 책읽기와 적은 돈이라도 독도에 대하여 기부하기 또는 독도에 대하여 다른 사람에게 올바르게 알려주기 등, 우리 모두 이런 대안을 실천해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