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대 여성 스트레스 최고로 높아
- 최근 5년간 20대 남성 스트레스 크게 증가

정신 및 행동장애의 한 유형인 '심한 스트레스 반응 및 적응장애(F43, 이하 스트레스)로 건강보험 진료를 받은 환자가 2007년 9만 8,083명에서 2011년 11만 5,942명으로 늘어났다.

이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20일 발표한 최근 5년간(2007~2011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 분석결과에서 나온 것이다. 
 
이 자료에 따르면 진료환자는 남성이 4만 5,568명, 여성이 7만 374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1.5배가량 많았다. 나이별로는 40대와 50대가 각각 2만 2,430명, 2만 1,903명으로 전체 진료환자(11만 5,942명)의 38.2%를 차지하였다. (2011년 기준)

나이별 인구 10만 명당 진료환자는 50대 여성이 398명으로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60대 여성 354명, 40대 여성 341명 순으로 나타났다. (2011년 기준)

▲ [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최근 5년 동안 인구 10만 명당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진료환자 수 연령대는 20대 남자로 연평균 8.8% 증가하였다. 뒤를 이어 70세 이상의 남자가 8%, 70세 이상 여자가 7.9% 증가하였다.

40~50대 남성 '직장인', '비(非)직장인'보다 스트레스 많아

 
경제활동연령을 고려하여 20~60대 진료환자를 '직장인'과 '비(非)직장인'으로 구분해 분석했다. 
 
2011년 기준 분석결과, 인구 10만 명당 진료환자 수는 여성 비직장인 360명, 여성 직장인 278명, 남성 비직장인 206명, 남성 직장인 181명 순으로 나타나 '비(非)직장인'이 '직장인'보다 진료환자수가 더 많았다. 그러나 40대와 50대 남성은 '직장인'이 각각 197명, 228명으로 '비(非)직장인' 177명, 196명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동안 인구 10만 명당 진료환자 수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비(非)직장인'은 남성은 20대, 여성은 60대였다.
 
'스트레스'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7년 147억 원에서 2011년 208억 원으로 1.4배 증가하였고, 건강보험공단에서 지급한 2011년 급여비는 139억 원이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최수희 교수는 '심한 스트레스 반응 및 적응장애(F43)'의 정의, 원인, 해소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심한 스트레스 반응 및 적응장애'란?
스트레스 상황 및 주요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다양한 정신건강 의학적 증상 증후군으로 진단을 위해서는 본 진단의 원인이 되거나 경과에 영향을 미치는 연관 사건이 명확히 존재해야 한다.
 
■ '심한 스트레스 반응 및 적응장애'의 원인

50대 여성
폐경기를 경험하면서 우울감, 불안 초조감, 불면 및 인지기능 저하와 같은 정신신경장애가 흔하게 발생하여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받게 되는 경우가 많다. 
 
20대 남성
전보다 엄격한 수준의 능력을 요구하는 사회적 압박 및 개인의 기대, 좌절 등과 같은 정신 심리적 요인에 더 쉽게 영향을 받아 정신건강 의학적 질병이 증가하였다.
 
70세 이상
혼자 거주하게 되는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 지지 체계의 결여, 낮은 사회경제적 수준과 같은 우울 장애 연관 인자에 노출되어 진료가 증가하였다.
 
40~50대 남성 직장인
지시에 복종, 인간 갈등과 같은 사회적 요인과 소음, 강력한 빛과 열, 한정된 공간과 같은 물리적 환경에 노출. 비직장인 보다 스트레스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연관 사건을 보다 빈번하게 경험하면서 스트레스에 취약하였다.

■ 스트레스 해소법
같은 스트레스 환경 속에서도 성취 지향적이고 강박적이며 완벽주의적인 사람들은 생활의 균형과 편안한 마음의 여유를 즐기는 사람보다 스트레스를 느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의 원인을 먼저 이해하고 스트레스의 내적 요인에 집중하여 자기 스스로 변화해야 한다.

- 카페인을 줄이거나 끊는 것이 좋다.
카페인은 신체의 스트레스 반응을 유발하는 강력한 자극제로, 불안, 초조, 불면 및 근육통 등을 유발할 수 있다.

- 일주일에 3차례 이상, 30분 동안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스트레스는 각성이 증가하여 있는 고에너지 상태이므로 운동을 통해 신체 내부의 과도한 에너지를 외부로 분산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 하루 1~2차례, 20분 동안의 이완과 명상이 도움된다.
스트레스와 반대되는 중화작용으로 진정 효과를 나타낸다. 의지적으로 맥박을 느리게 하고, 혈압을 낮추며, 호흡 횟수를 줄이고, 근육을 이완시킴으로써 스트레스 반응의 효과를 반전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