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교육연구회는 2일 서울대학교 교육정보관에서 ‘국사교육의 안정화와 역사교육이 향방’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국사를 사회과로 묶어두고 그 안에서 일반사회, 지리와 경쟁하고 타협하여 시수를 정하라며 내팽개치는 얼빠진 나라가 어디 있겠는가? 당장 역사를 사회과로부터 독립시키고 교과과정은 물론 수능을 비롯한 각종 국가고시에 필수로 지정해야 한다!”

서의식 서울대 교수는 역사교육연구회가 2일 서울대학교 교육정보관에서 열린 학술대회에서 이같이 기조강연을 했다.

이날 기조강연에 이어 ‘국사교육의 안정화와 역사교육의 향방’을 주제로 총 4편의 논문이 발표됐다.

최근 개정된 초등학교와 중학교 역사교육의 내용편제와 구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있었고 지난해 보수와 진보의 이념대결로 치달았던 역사교육개정에 대한 논란과 해법 그리고 국사가 한국사로 바뀐 배경에 대한 발표가 흥미롭게 진행됐다.

첫 번째 발표자로 최병택 공주대 교수는 초등학교 국사 교과서에서 생활사 중심의 서술에 대해 비판했다.

최 교수는 “커피와 홍차를 어느 시기에 들여와 마셨는가 하는 문제는 초등학생들에게 중요한 것인지 의문이다”며 “현행 교과서에 생활사 관련 내용은 학습 내용을 전체적으로 늘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생활양식을 소개하는 데에 치우친 부분은 과감하게 삭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발표자로 김한종 한국교원대학교 교수는 ‘중학교 국사교육의 내용편제와 구성’에서 “그동안 중학교 국사교육은 정치사 중심의 통사로 구성되어  학습해야 할 내용이 너무 많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정치사 외에 다른 분야의 역사를 나열식으로 포함하였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따라서 김 교수는 “정치현상을 중심으로 관련된 역사적 사실을 포괄하는 넓은 의미의 정치사로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세 번째 발표자로 김태웅 서울대 교수는 지난해 8월 ‘민주주의’와 ‘자유민주주의’ 용어를 둘러싼 역사교육과정의 원인으로 심의위원회까지 통과한 민주주의 용어를 ‘자유민주주의’로 변경한 교육과학기술부의 결정행위였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교육과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과부 장관이 대부분의 사항을 고시라는 형태로 제정하고 공포하는 방식은 개선해야 한다”며 법규로 규정할 것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김창성 공주대학교 교수는 ‘국사의 필수화와 세계사 교육’이라는 주제에서 “국사가 한국사로 바뀌었다. 서양학자들의 줄기찬 요구가 큰 역할을 하였다. 그들은 국사라는 단어 자체가 지나치게 국수적이라는 것이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소위 명문대 인문사회 교수의 80%가 미국대학 박사학위 소지자라는 점과 이들이 어떤 면에서는 식민지교육의 수혜자라는 점이 이들의 인식에 깊은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사를 국사로 하자는 반향이 없다. 그것은 국사교육의 전통에 관한 일반인의 무지에 기인한다”며 “우리나라의 역사가들과 교사들이 국사에 전문가이길 바란다. 그래야 문제점을 발견하고 새로운 시각으로 세계학계에 공헌할 수 있다. 러시아 학자들은 자신의 농노제 문제를 고민하였고 그리하여 세계적인 중세사 학자들을 배출할 수 있었던 것이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