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 환자 10명 중의 1~2명에게 관찰될 정도로 흔한 정신과 질환인  '섬망(Delirium)'의 원인을 국내 연구진이 규명했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김재진 교수팀 15일 뇌의 부위별 활성화 정도를 보여주는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이용해 섬망 환자들에게서 공통으로 관찰되는 두 종류의 뇌기능 부조화 기전을 찾았다고 밝혔다.

섬망은 불면증, 기억력 저하, 사고장애, 초조, 피해망상 등이 나타나는 정신과 질환이다. 주로 큰 외과적 수술 후 회복 단계의 환자나 중환자실 장기 입원 환자에게서 나타난다. 70대 이상 고령층이 환자의 대부분이라서 '치매'로 오인되기도 한다.

치매는 뇌세포가 파괴돼 회복이 어렵지만 섬망은 뇌의 일시적 기능장애에 의한 질환이므로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완전 회복된다. 그러나 발병 기전이 어느 정도 밝혀진 치매와 달리 이제껏 섬망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에도 그 발병 기전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었다.

김 교수팀은 70대 초반 섬망 환자들과 정상인 각각 22명에 대해 fMRI를 촬영하고 두 집단 간 뇌 부위별 기능 활성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섬망 환자군에서 정상인에게서는 볼 수 없는 뇌의 기능적 부조화 기전 두 곳을 찾아냈다.

첫 번째 부조화 기전은 신체운동 및 시각, 청각 반사와 의식 상태를 통제하는 대뇌 ‘기저핵’과 ‘중뇌’ 사이의 기능적 연결이 끊어져 두 부위가 균형 있는 활성화를 이루지 못하고 한 쪽 부위만 과도하게 활성화돼 있었다. 이로 인해 정상적인 의식 유지와 판단 및 행동이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부조화 기전은 이성을 관장하는 전두엽 바깥쪽 부위와 기본적 인지기능 유지를 담당하는 뇌 중심부 피질 뒤쪽 부위의 ‘기능적 상호 연결성’이 와해된 것을 찾아냈다.

김 교수는 “이번에 규명된 뇌의 두 기능적 부조화 기전 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와 섬망의 상세한 원인 규명과 완치법이 나오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 학술지인 '미국 정신의학회지' 5월호에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