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고궁박물관은 15일 부터 '천 년의 기록, 내일을 열다'라는 주제로 팔만대장경 마지막 전시를 연다.

 

  인류 지성의 위대한 상징이자 아시아 문화의 자부심 고려 팔만대장경 발원 천 년을 기념하는 특별전시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11월 15일부터 12월 18일까지 '천 년의 기록, 내일을 열다'란 주제로 특별전시회를 개최한다.

 우리나라 최초의 대장경인 초조대장경은 1232년 몽골군의 고려 침입 당시 불타 없어졌다. 고려 왕조는 초조대장경 소실 4년 만인 1236년(고종 23년) 두 번째 대장경, 즉 재조대장경(再彫大藏經)을 새기기 시작해 1251년(고종 38년) 완성하는데, 이것이 바로 현재 경남 합천 해인사에 보관된 팔만대장경이다. 경판 수 8만 1천 258장, 무게 280t의 방대한 규모를 자랑하는 팔만대장경은 현존하는 세계 유일의 목판대장경으로, 2007년 유네스코 세계 기록문화유산에 등재됐다.

 초조대장경 조판 작업은 1011년 거란이 침입하자 고려 현종이 불력(佛力)에 의한 국가 수호를 위해 지시한 것으로, 중국 송나라의 개보판(開寶版) 대장경과 우리나라에 전해 내려온 각종 불경을 집대성해 그 내용을 목판에 새기는 국가적인 사업이었다.
1000년이란 시간은 바로 이 초조대장경 제작을 시작한 해부터 계산한 것이다. 그러나 무려 76년 동안 국력을 한데 모아 맺은 결실은 1232년 몽고군의 침입으로 소실되었다. 목판은 이제 찾아볼 수 없지만 다행히 수천 장의 인쇄본이 남았다.

  그 인쇄본을 바탕으로 1236년, 우리가 흔히 팔만대장경이라 부르는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을 15년 만에 제작했다. 그 옛날 국난 극복과 민족 화합을 위해 81,258장의 불경을 새겼고 어느덧 천년의 세월이 흘렀다.

  초조대장경을 조성하기 시작한 지 천 년이 되는 뜻깊은 해를 기념하기 위하여 준비한 이번 특별전에는 천 년을 이어온 우리의 우수한 기록문화유산이자 귀중한 불교문화유산인 초조대장경과 재조대장경 중 국보와 보물로 지정된 대장경이 대거 출품되어 국가지정문화재인 대장경을 한 자리에서 살필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이번에 서울에서 전시되는 해인사 대장경판은 이번 전시를 끝으로 더 이상 일반에 공개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져 팔만대장경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