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과 서울시가 상암동 일대에 일본군 장교 관사를 주민의 혈세로 복원하였지만, 비공개로 진행되는 가운데 국민 대다수가 몰랐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일본군 장교 관사 복원에 대해서는 시사주간신문 뉴스포스트가 2010년 12월 13일에 단독보도한 것 이외에는 주요 일간지와 방송 매체 어느 곳에도 다루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그런데, 지난 21일 역사복원신문이 "21세기 대한민국 수도 서울에서 믿기지 않은 일이 벌어졌다."라며, "일제강점기 시절 우리 민족을 악랄하게 괴롭혔던 일본군 장교 관사를 주민들에게 30억원의 비용을 분담시켜 상암동에 복원해 놓았다."라고 재차 보도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문제의 일본군 관사는 1930년대 중국침략전쟁을 일으킨 일제가 경의선 수색역(상암동 인근)을 보급기지로 삼아 태평양전쟁을 수행하던 병참기지였던 것으로 밝혀졌다.

두 신문은 일본군 관사와 도로 하나를 사이에 두고 개교한 일본인 학교와의 연관성에 문제를 제기하며, 복원을 추진한 문화재청과 SH공사가 서로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더 큰 문제는, 뉴스포스트가 인터뷰한 문화재 등록과 복원을 주도한 김정동‧안창모 교수의 역사인식과 주민의 인식 차이였다.

당시 문화재 등록을 심의 결정하는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김정동 목원대 교수는, “50년 이상된 건물은 문화재보호법에 의거, 등록문화재로 지정될 자격을 갖게 되며, 일본군관사는 아픈 과거를 되돌아볼 수 있는 교육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해 문화재등록을 추진하게 되었다”며 “전북 군산, 경북 경주 등에 있는 일본 신사도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예가 있다. 아픈 역사도 우리의 역사인 만큼 보존하는 게 맞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복원 사업의 사령탑 역할을 한 안창모 교수(경기대 건축대학원)는 “일본군 장교 단지가 완벽하게 보존되어 복원된 사례는 국내에서 유일하다”라며 “생활문화유산은 발굴 보존된 사례가 많지만, 군대문화유산을 복원한 경우는 매우 드물어 역사적 보존 가치가 높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주민 오모씨(50)는 “아이들이 아파트 단지에서 학교로 가려면 일본군관사 자리를 거쳐야 하는데 오갈 때마다 착잡한 심정이다. 문화재로의 복원 자체는 반대하지 않지만 통학로에 (일본군관사가) 자리잡은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밤에는 불빛마저 없는 빈집(일본군관사)들이라 지나갈 때마다 등골이 오싹해지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일본군 관사 복원 논란은 네티즌 이종태씨가 포탈사이트 다음 아고라에 ‘혈세로 복원된 일본군장교관사가 문화재가 된다?’는 제목의 글과 사진을 올려 5일 만에 9만 건에 육박하는 조회수와 800여 개의 댓글이 달리는 등 네티즌의 폭발적인 관심을 이끌어냈다.

그러나, 이종태씨가 뉴스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하루종일 관계기관들에 문의하며 전화통을 붙잡았지만 공무원들의 무성의하고 고압적인 태도로 인해, 개인 신분으로 뭔가를 확인하는 게 이렇게 어려울 줄 몰랐다”고 심경을 털어놨다.

서울 한복판에 복원된 일본군 장교 관사를 두고, 일제의 마지막 총독인 아베의 글이 회자되고 있다.

"우리 일본은 패했지만 조선은 승리한 것이 아니다. 장담하건대 조선 국민들이 제정신을 차려 찬란하고 위대한 옛 조선의 영광을 되찾으려면 100년의 세월이 훨씬 더 걸릴 것이다. 우리 일본은 조선 국민에게 총과 대포보다 무서운 식민 교육을 심어놓았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조선인은 서로 이간질하며 노예적 삶을 살 것이다. 보라, 실로 조선은 위대하고 찬란했지만 현재 조선은 결국 일본 식민 교육의 노예로 전락했다. 그리고 나 아베 노부유키는 다시 돌아올 것이다."

현재 사단법인 국학원을 비롯한 주요 민족 단체들이 일본군 장교 관사를 복원한 문화재청과 서울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 회의를 소집하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