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는 지난달 29일 일명 '신데렐라법'이라 불리는 '셧다운제'를 통과시켰다. 오는 11월부터 16세 미만 청소년들은 자정이 되면 온라인 게임을 할 수 없다.  청소년들의 무분별한 인터넷중독을 해결하기 위해 마련된 고육지책인 것이다.

▲ MBC '뉴스데스크' 화면. 늦은 시간까지 아이들이 PC방에서 인터넷 게임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 청소년들의 인터넷중독 실태는 어떨까. 초 4, 중 1, 고 1을 대상으로 실시한 10대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습관 진단 결과, 약 5%에 해당하는 10대 청소년이 인터넷 중독 위험군으로 분류되었다.

 여성가족부(장관 백희영)와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가 공동으로 지난 3월부터 4월까지 총 181만 명(초4 55만명, 중1 61만명, 고1 65만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넷 이용습관 전수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고위험군은 나이가 어릴 수록 그 비율이 높은 반면, 오랜기간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나타나는 잠재위험군은 나이가 많을 수록 비율이 높았다.

 조사결과 초등학교 4학년생과 중학교 1학년생은 조사를 시작한 이래 고위험군과 잠재위험군에 해당하는 청소년의 수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초등학교 4학년은 지난 2009년 첫 조사를 시작한 이래 고위험군이 1.99%에서 2011년 1.64%로 감소했고 중학교 1학년 역시 2010년 1.4%에서 1.25%로 감소했다. 잠재위험군 역시 초등학교 4학년은 3.78%에서 2.74%로, 중학교 1학년은 3.9%에서 3.63%로 감소 추세에 있다. 

 반면, 올해 첫 조사를 시작한 고등학교 1학년의 경우 고위험군은 상대적으로 저학년들보다 낮은 0.97%에 불과했으나, 잠재위험군은 저학년들보다 훨씬 높은 4.49%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이번 인터넷 이용 습관 조사결과에 따라 부모의 사전 동의를 받고 인터넷중독에 대한 상담이나 치료를 희망하는 청소년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고위험군으로 분류될 경우 저소득계층은 최대 50만원, 일반계층은 최대 3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여성가족부 이복실 청소년가족정책실장은 "전국의 166개 청소년 상담지원센터, 179개 치료협력병원을 연계한 16개 시도별 인터넷중독 대응 지역협력망을 활성화하겠다"며 "인터넷 중독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국가적 대응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터넷중독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 예방교육은 물론 개인 상담과 기숙형 캠프, 가족 캠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인터넷 과다사용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레스큐스쿨>은 여름과 겨울 방학을 이용해 운영되는 11박 12일 캠프다. 여성가족부를 통해 비용을 보조받을 수 있으며 한국청소년상담원(www.kyci.or.kr)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문의사항은 청소년상담지원센터(전화 지역번호+1388)를 통해 안내 받을 수 있다.

 BR집중력클리닉에서는 뇌파검사, 심리검사, 중독상태검사 등을 통해 아이가 게임이나 인터넷 중독에 빠진 원인을 밝히고 이에 맞는 치료법을 진행한다. 두 달에 한 번 <집중력 세미나>도 무료로 개최하고 있어 자녀들의 두뇌개발이나 인터넷 중독에 대한 치료법, 예방법을 찾는 학부모들이 많이 찾고 있다. 신청은 브레인트레이닝센터(www.brainhsp.com, 02-566-6677)을 통해서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