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계형 낚시꾼이라 하여  고기를 잡아 내다 팔아 살아가는 줄 알았다. 읽어보니 잘못 알았다.  바다에서 물고기를 잡되 돈벌이보다는 먹는다. 팔기 위해 잡는 게 아니라는 이야기다. 그렇게 잡아서 이웃과 나누어 먹고. 그렇게 살아온 이야기가 생기가 넘친다.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거문도에서 태어나 걸쭉한 남도 입담으로 바다와 섬의 이야기를 우직하고 집요하게 기록해온 작가 한창훈. 그러나 책을 여러 권 펴낸 지금도 그는 식자 든 사람으로서 바다를 구경하고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거문도에서 ‘주어야독(晝漁夜讀)’하며, 어부들과 해녀들 사이에 섞여 몸으로 바다를 살아내고 있다.

<> 생계형 낚시꾼 소설가 한창훈.

그런 그가 온몸에 문신처럼 새겨진 바다의 기억과 일곱 살 때부터 시작한 ‘생계형 낚시’ 40년의 노하우를 엮어 ‘21세기형 자산어보’를 완성했다.

중앙일보 지면에 2009년 봄부터 2010년 여름까지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라는 제목으로 연재하여 읽는 이의 가슴을 탁 트이게 했던 원고를 토대로 했다. 거기다 신문지상에서 못다 한 바닷속 숨은 이야기들과 직접 찍은 시원한 바다 사진들을 모아 책 속에 바다를 통째로 담았다.

 30종의 ‘갯것’들을 맛깔나게 먹는 법, 잡는 법, 다루는 법과 함께 바닷사람들의 애틋한 삶의 면면까지 자연스레 녹여낸 이 책은, 바다와 섬, 그리고 그에 기대 사는 모든 생명들에 관한 생생한 기록 그 자체이다.

저자에게 이 책을 쓰도록 영감을 준 것은, 이백 년 전 조선시대의 해산물 박물지라 할 수 있는 정약전의 『자산어보』이다.
한창훈은 ‘한창훈표 자산어보’의 집필을 시작하면서 가진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한 바 있다.

“바다를 좀 안다고 생각했는데 『자산어보』를 읽고서 아예 좌절을 했지 뭔가. 이 애물단지를 어떻게 해야 하나 몇 년을 고민하다 결국 에세이 여는 글로 삼기로 했네. 이른바 ‘한창훈식 『자산어보』 해제’라 할 수 있지. (정약전은) 실학자라 해도 양반이었단 말이지. 평생 생선은 밥상 위에서나 구경했을 법한 양반이, 아무리 유배중이었다 해도 비린내 풍기는 생선을 요리 뜯어보고 조리 헤집어보며 연구하고 기록을 남겼다는 게 중요한 거요. 그때만 해도 갯일은 천한 일이 아니었던가.”

한양에서 유배당한 정약전은 권모술수와 책략이 난무하는 수도에서 한 걸음 떨어져 호젓한 흑산도에서『자산어보』를 집필했고, 그로부터 200년 후 작가 한창훈은  “고된 노동, 물리적인 불편, 여러 가지 제약 따위가 늘 사람을 괴롭히기 때문에” 젊은이들이 “어떡해서든 섬을 떠나려는” 상황 속에서 홀로 고향 거문도로 돌아와 그만의 자산어보를 채워가기 시작한다.  

여느 어부들과 다름없이 먹고살기 위해 바다에 낚싯대를 늘어뜨리고, 홍합과 생선을 다듬으며 바닷사람들의 삶 깊숙이 파고들었던 그는 도시인들의 ‘레저형 낚시’와는 차별화하는 의미에서 스스로를 ‘생계형 낚시꾼’으로 정의하며, 온갖 생명들이 꿈틀거리는 생활의 터전으로서의 바다를 묘사한다. 

그리하여 갈치, 고등어, 꽁치, 문어, 볼락, 삼치, 홍합…… 등 익숙한 해산물들에서부터, 처음 보면 까먹어야 할지 깨먹어어야 할지, 음식인지 돌덩이인지 당최 어리둥절한 ‘거북손’, 건드리면 보라색 체액을 울컥 쏟아내는 ‘군소’ 등 섬사람들에게는 백사장만큼이나 익숙하지만 도시인들의 눈에는 마냥 신기하기만 한 해양생물들에 이르기까지―한창훈의 자산어보에서는 우리가 식탁에서 그저 식재료로만 여겼던 온갖 갯것들이 저마다의 생명력을 얻어 고유한 이력과 맛 들을 뿜어낸다.

한편, 우리가 몰랐던 해산물 맛있게 즐기는 요령 및 섬사람들의 상차림 또한 이 책에서 놓칠 수 없는 부분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사실 이것, 말 안 해주고 싶다. 두고두고 나만 먹고 싶다”며 능청을 떨면서도 각 해산물들의 진미를 느낄 수 있게 하는 궁극의 상차림을 두런두런 털어놓아 읽는 이의 오감을 자극한다. 

한창훈은 이 책에서  온갖 눈이 시린 바다의 풍광들과 활기찬 항구의 감동을 묘사하다가도 “풍경과 저녁밥은 별개의 문제”라며 짐짓 정색하고 다시 생활로 돌아오는 영락없는 ‘생계형 낚시꾼’이지만, 이 책을 읽다보면 그를 따라 민장대 하나 매고 바닷가로 당장 뛰어가 홀로 되고 싶어지는  순간들이 찾아온다.

한창훈의 자산어보는 해산물 이야기를 전면에에 내세웠으되, 정작 글 속으로 들어가보면 바다를 껴안고 바다에 기대 살아가는 ‘인간’의 이야기였고, 바다와 섬과 해산물과 사람이 뒤엉켜 눈물과 웃음 범벅으로 한몸에 살아가는 신비한 ‘인어’ 같은 이야기였음을. 

이 책 속엔 깊은 바닷속에서 숨 참아가며 바다가 허락한 먹을거리 캐올리는 해녀들의 가쁜 숨비소리가 있고, 밤배 타고 나가 어린것들과 아낙을 먹이는 애비라는 이름을 지닌 어부들의 애틋한 사랑이 절절히 녹아 있다. 바다에서 태어났거나 이따금 휴가철 바다로 가서 위안을 받지만, 현재는 바다와 멀리 떨어져 대도시에서 아옹다옹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에 대한 위로가 있다.

바닷바람 한 줄기 불어줬음 싶은 이 팍팍한 대도시에도 한창훈처럼, 가슴 한쪽에 바다 한 동이 품고 사는 섬 가시내 바다 머시매 들 얼마나 많을 것인가.
그러니, 사람에 치여, 모진 도시에 치여, 속이 깎여나갈 때―맘 아픈 사람들이여, 바다로 가라.
그러나 바다 한번 갈 틈도 없이 마음 분주하다면, 부디 이 책을 열어 섬사람들의 숨소리와 철썩거리는 파도 소리를 들어라. 작가 한창훈이 그려낸 이 위안과 희망의 바다에서 부디 하룻밤 맛있게 쉬어갈 수 있길.
이 책의 갈피갈피마다 바다가 철썩거린다. 바다를 껴안고 호젓하게 살아가는 섬사람들의 아기자기한 일상이 가슴속에 수런거린다.

바다를 잊지 못하는 당신, 어느 한 시절 당신의 가슴을 시원하게 적셔주었던 바다의 기억으로 순간이동하길 꿈꾸는 당신에게, 이 책에 담긴 푸짐한 바다 한 상을 권한다.  (문학동네 펴냄, 13800원)

 


 

한창훈은

1963년 여수시 삼산면 거문도에서 세상에 나왔다. 세상은 몇 이랑의 밭과 그것과 비슷한 수의 어선 그리고 넓고 푸른 바다로만 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일곱 살에 낚시를 시작했고 아홉 살 때는 해녀였던 외할머니에게서 잠수하는 법을 배우기도 했다. 
사십 전에는 기구할 거라는 사주팔자가 대략 들어맞는 삶을 살았다. 음악실 디제이, 트럭운전사, 커피숍 주방장, 이런저런 배의 선원, 건설현장 막노동꾼, 포장마차 사장 따위의 이력을 얻은 다음에 전업작가의 길로 들어섰다. 그 뒤로는 한국작가회의 관련 일을 하고 대학에서 소설 창작 강의를 하기도 했다. 그러는 동안에도 수시로 거문도를 드나들었다.
현대상선 컨테이너선을 타고 ‘부산―두바이’ ‘홍콩―로테르담’ 두 번의 대양 항해를 하며 근해에서만 머물렀던 답답증을 풀기도 했다. 특히 인도양과 수에즈운하 거쳐 지중해를 통과한 다음 북대서양으로 올라갔던 두번째 항해를 떠올리며 지금도 서쪽으로 눈길을 주곤 한다. 4년 전 고향으로 돌아왔다, 원고 쓰고, 이웃과 뒤섞이고, 낚시와 채집을 하며 지내고 있다.
바다를 배경으로 둔 변방의 삶을 소설로 써왔다. 소설집 『바다가 아름다운 이유』 『가던 새 본다』 『세상의 끝으로 간 사람』 『청춘가를 불러요』 『나는 여기가 좋다』, 장편소설 『홍합』 『열여섯의 섬』 『섬, 나는 세상 끝을 산다』, 산문집 『한창훈의 향연』 등을 썼으며, 어린이 책으로 『검은 섬의 전설』 『제주선비 구사일생 표류기』가 있다. 
대산창작기금, 한겨레문학상, 제비꽃서민소설상, 허균문학작가상, 요산문학상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