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은 원일(元日), 원단(元旦), 원정(元正), 원신(元新), 원조(元朝), 정조(正朝), 세수(歲首), 세초(歲初), 연두(年頭), 연수(年首), 연시(年始)라고도 하는데 이는 대개 한 해의 첫날임을 뜻하는 말이다. 또한 신일(愼日), 달도라고도 하고, 근대국가에 와서는 신정(新正)으로 일컬어지는 양력설의 상대 개념으로 구정(舊正)이라고도 하였다.

  설이 언제부터 우리의 명절이었는지는 명확하게 알 수 없다. 다만 우리나라의 설에 대한 최초의 구체적인 기록은 7세기에 나온 중국의 역사서에 나타난다. 예컨대『수서(隋書)』와『구당서(舊唐書)』의 신라 관련 기록에는 왕권 국가로서의 설날의 면모가 잘 나타난다. 즉 “매년 정월 원단에 서로 경하하며 왕이 연희를 베풀고 여러 손님과 관원들이 모인다. 이 날 일월신(日月神)을 배례한다.”는 기록은 국가 형태의 설날 관습을 엿볼 수 있는 기록이다.

▲ 널뛰기 체험                                                                   <영산호박물관 제공>

 

  설날에 행해지는 세시풍속은 사실상 거의 의례에 포함되어 전통적인 의미로 말하면 ‘세시의례’라고 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리고 세시의례는 농사를 중심축에 놓고 행해지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농경의례’라고도 한다.

  설날 행하던 의례로는 임금이 농사를 권장하기 위해 글을 써서 내리는 권농윤음(勸農綸音)을 비롯하여 덕담 주고받기, 합동세배, 여자 노비를 보내 새해 안부 전하기, 성묘, 차례, 세배, 정조하례 등이 있고, 복식의례로는 설빔을 입고 조상과 이웃에게 새해 인사를 한다.

▲ 윳놀이 체험                                                             <영산호박물관 제공>

 

그리고 시절 음식으로는 가래떡을 비롯해 강정, 도소주, 떡국, 만둣국, 생떡국, 세주, 세찬, 수정과 등이 있으며, 속신으로는 도깨비불 점, 드는 환갑 쇠기, 똥 도둑질, 세화(歲畵), 문배(門排), 법고(法鼓), 시주, 복조리, 복주머니, 야광귀 쫓기 등이 있다.
 
 신라 소지왕 고사에서 대보름의 유래

  정월 대보름의 유래는『삼국유사』권1「기이(紀異)」사금갑조(射琴匣條)에 나타나 있다. 예컨대 "마귀가 소지왕을 인도하여 위급을 면하게 했고, 그 후로 매년 첫 번째 돼지ㆍ 쥐ㆍ 말날에는 모든 일을 삼가고 감히 동작을 아니 하며, 15일을 오기일(烏忌日)이라 하여 찰밥으로 제사지내니 지금에도 행하고 있다."라는 기록에서 그 연원을 엿볼 수 있다.
 

▲ 투호와 고리걸이 체험                                                <영산호박물관 제공>

 

정월 대보름을 한자로는 상원(上元)이라고 한다. 이날은 우리 세시풍속에서는 가장 중요한 날로 설날만큼 비중이 크다. 최상수의『한국의 세시풍속』에 의하면, 1년 12개월 동안 세시풍속 행사의 총 건수는 189건으로 나온다. 그 중 정월 한달이 세배,설빔 등 78건으로서 전체의 거의 절반이 되어, 1년의 세시풍속 중에서 정월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큼을 보여준다. 그리고 정월 78건 중에서도 대보름날 하루에 관계된 세시풍속 항목은 40여건으로 정월 전체의 반수를 넘고, 1년 365일에서도 이 하루의 행사가 5분의 1이 넘는 비중을 보여주고 있다. 거기에다가 동제(洞祭)나 줄다리기 등 뜻이 깊고 대형적인 행사들이 집중되어 있기도 하다.

  대보름날에는 절식(節食)으로서 약밥, 오곡밥, 묵은 나물과 복쌈, 부럼, 귀밝이술 등을 먹으며, 기풍, 기복행사로서 볏가릿대 세우기, 복토 훔치기, 용알 뜨기, 다리 밟기, 나무시집보내기, 백가반(百家飯) 먹기, 나무 아홉짐 하기, 곡식안내기 등을 행한다.

  또한 이날  하는 농점(農占)으로서는 달집태우기, 사발 점, 그림자 점, 달불이, 집불이, 소밥주기, 닭 울음점 등이 있으며, 이날  하는 제의와 놀이로서는 지신밟기, 별신굿, 안택고사, 용궁맞이, 기세배, 쥐불놀이, 사자놀이, 관원놀음, 들놀음과 오광대 탈놀음 등이 있다. 그리고 이날에는 고싸움, 나무쇠싸움 등의 각종 편싸움을 하기도 하고,  제웅치기ㆍ나무조롱달기, 더위팔기ㆍ개보름쇠기, 모기불놓기, 방실놀이, 뱀치기 등 액막이와 구충행사도 한다.

  한 달을 주기로 하여 가득 찼다 기울었다를 반복하는 운행원리로 인하여 달(月)은 우리 민족에 있어 재생의 존재로 인식되었고 마침내 풍요를 가져다주는 상징물에 이르게 되었다. 달과 관련된 민속의 으뜸은 정월대보름과 팔월한가위이다. 정월대보름은 전체 민속놀이의 6, 7할이 몰려있을 정도로 매우 성대하고 다양한 세시풍속이 유행하였다. 한 해가 시작되는 정초에는 그 해의 풍년을 기원하는 행사가 많았고, 수확을 거두는 8월 한가위에는 풍년을 감사하는 제의를 지내면서 각종 놀이를 즐겼기 때문이다.

  정월대보름에는 설날부터 시작된 여러가지의 근신이 끝나고 서서히 한 해 농사를 준비하는 시기로 각종 제의와 풍농기원행사를 개최했다. 설이 가족단위로 조상을 받들고 일가친척과 유대를 강화하는 명절이라면, 대보름은 계층과 성별 그리고 빈부의 차이를 뛰어넘어 마을민 모두가 당산제를 지내고 대동놀이를 함으로써 서로 화합하는 장을 마련하는 날이다. 그러므로 정월대보름은 가족과 일가친척의 차원을 뛰어넘어 마을공동체를 위한 명절이다. 마을민들은 마을신을 중심으로 뭉쳐 하나임을 강조한다. 집집마다 잡귀를 몰아내고 풍요와 번영을 기원하며, 서로간의 단결과 화합을 이끌어내는 명절이 정월대보름인 것이다.

영산호관광농업박물관 17일까지 민속놀이 체험 행사

목포에 있는 영산호관광농업박물관에서는 설ㆍ대보름맞이 민속놀이 체험행사가 2월1일부터 17일까지(휴관일 제외 15일간) 박물관내 농경문화체험관 일원에서 열린다.  윷놀이, 승경도놀이, 팽이치기, 제기차기, 투호,  고리걸기, 굴렁쇠, 줄다리기, 널뛰기, 그네타기 등을 체험해 볼 수 있다. 
 여수시에서는 17일  목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여수시 해양공원에서 여수문화원 주관으로 전통민속놀이 재현/놀이체험마당을 운영한다.

                                                                       <영산호농업박물관 제공>

 

고흥에서는 정월대보름 선정마을 별신제

전남 고흥 선정마을 별신제는 별신제 외에 당산제, '제만 모신다' 등의 명칭으로 불린다. 제당은 별신제를 지내는 원당산과 12당산으로 구성된다. 원당산은 마을 앞 바닷가를 둘러싸고 있는 석재(방풍림)의 한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는 ‘仙亭別神祭壇’ 상석이다. 원당산 외에 열두당산이 있다.
현재는 열두당산이 모두 남아있지 않고, 아홉 군데에만 남아있다. 열두당산에 대한 구체적 신격은 없으나 당산할아버지의 자손들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 고흥 신정마을 정월대보름 별신제                    <영산호박물관 제공>

마을을 동심원으로 해서 곳곳에 당산이 있고, 구체적인 신체가 있는 곳도 있으며 신체가 없는 곳도 있다. 여기서 특징적인 것은 첫 번째 당산에서는 들당산굿을 치고, 마지막 아홉 번째 당산에서는 날당산굿을 치는 것이다. 또한 들당산굿과 날당산굿을 포함한 4군데 당산에는 나머지 5군데의 당산굿보다 훨씬 더 복잡한 과정의 당산굿을 연행한다. 올해 선정마을 별신제(당산제) 16일부터 17일까지 신정마을회 주관으로 월정리 일대에서 열린다. 

 

  전남 보성 노동면 보성공연예술촌광장에서는 16일 갈대골 풍물패 주관으로 정월대보름 달맞이대동굿이 열린다.

▲ 전남 보성 노동면 보성공연예술촌에서 열린 정월대보름 달맞이 대동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