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사람들은 우리의 전통문화 하면 판소리, 사물놀이, 전통무예 등 오감으로 듣고 볼 수 있는 문화를 떠올리거나, 샤머니즘을 연상한다. 그리고 전통적인 철학이 무엇이냐고 하면 불교와 유교를 이야기한다.

한국인의 뇌에 전통문화가 이렇게 인식돼 있다면, 외국인들이 우리의 전통문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지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다. 우리가 불교문화나 유교문화를 우리의 전통문화로 소개하면, 외국인들은 그것은 한국의 문화가 아니고, 외래문화라고 이야기한다. 전통문화는 그 민족의 고유한 정신과 철학이라는 것이 세계인이 인정하는 상식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역사교과서가 “한국은 고유한 전통문화가 없고, 중국문화와 일본문화의 아류”라고 한 것이 그런 상황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우리는 불교문화와 유교문화, 기독교문화를 비롯한 외부에서 들어온 사상과 문화들이 그 역사가 아무리 오래되었다 해도 우리의 전통문화가 될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외래문화는 전통문화의 토양 위에서 조화를 이루며 그 민족의 문화적 발전에 함께 이바지하는 것이지, 전통문화의 자리를 대체할 수는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전통문화의 핵심은 그 민족이나 국가의 고유한 정신, 즉 민족의 중심 가치이자 중심철학이다. 우리는 지난 2천 년 동안 수많은 강대국의 침략과 지배 속에서 끊임없는 문화침투를 당해왔다. 그 와중에 우리 민족의 본래 정신과 가치를 잃어버리고 만 것이다. 특히, 36년간 이어진 일본의 식민지배는 우리의 고유한 문화를 잃게 하고, 문화적으로 식민화시켰다. 영토와 주권, 경제적 이권을 가져간 것으로 만족하지 못하고 우리의 말과 글은 물론, 성씨까지 빼앗아 간 것이다. 이처럼 정신을 부정하고, 뿌리를 부정하는 우민화 식민정책은 국조 단군을 곰의 자손으로, 단군조선의 역사를 신화로 만들어 버렸다. 이러한 역사왜곡은 우리 민족의 정신적인 전통을 말살시키기 위한 식민 노예화의 마지막 종착점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역사 때문에 한국인의 뇌 속에는 전통문화와 외래문화가 혼재되어 있다. 반세기 전 일제의 식민지 지배에서는 벗어났지만, 해방 이후 바로 서구 기독교문화의 영향권으로 들어가면서 우리의 전통문화는 아직 복원되지 못하고 있다. 이제 우리의 뇌에서 전통문화와 외래문화부터 구분해야 한다. 그리고 역사적 시련 속에서 우리 전통문화의 맥이 끊어졌다면 그것을 찾아 복원해야 한다. 그래서 작은 불씨라도 살려내야 하는 것이다.

민족의 주체성과 창조성은 전통문화에서 나온다. 때문에 전통문화가 없는 민족은 주체적이고 창조적으로 발전할 수 없으며, 그 미래도 항상 불안할 수밖에 없다. 자긍심과 자존감이 없는 사람이 자신의 미래를 스스로 창조할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다.

우리에게 전통문화의 복원은 홍익정신의 복원이고, 한민족 철학의 핵심인 천부경의 복원이며, 한민족 역사의 구심인 국조 단군의 복원이다. 이것이 전통문화의 중심에서 이루어질 때, 한민족의 문화원류가 살아나 문화강국으로서 우리의 미래를 창조하는 데 빛을 더할 것이다.

이승헌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총장, 국제뇌교육협회 회장
국학원 설립자 www.ilchi.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