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4년 선조37년 10월, 왕은 임진왜란 때 선조의 몽진에 호종한 이충원(李忠元:1537∼1605)에게 공신교서를 내렸다. 완양부원군 이충원 호성공신 교서 (完陽府院君李忠元扈聖功臣敎書)다. 
 교서에는  이충원의 천품 ·자질과 역관사실(歷官事實)을 서술하고, 임진왜란 때 진충(盡忠)하여 국난을 회복한 공을 찬양했다. 또 공신의 특전으로 호성2등인 이충원에게 내려지는 특전 및 시상을 적고 공신과의 맹세로 왕이 공신에게 국가의 존립과 함께 영원히 휴척(休戚)을 같이 할 것임을 적었다.
이어 공신의 명단으로 1등에 이항복(李恒福) 등 2명, 2등 33명, 3등 53명, 총 89명의 명단을 3단으로 기록했다. 이충원은 2등이었다.
그리고  ‘만력 삼십이년 시월 일(萬歷三十二年十月日)’이라 적고, 그 위에 ‘시명지보(施命之寶)’라는 어보(御寶)를 찍어 증명하였다.
' 시명지보'는 선조의 어보이다.

  어보는 존호나 시호를 올릴 때나 가례, 길례 등 각종 궁중의식에 의례적으로 사용된 권위의 상징물이다. 이 어보 유물은 원래 종묘에 보관되어 있던 것들로 1994년 궁중유물전시관으로 이관되었다가, 2005년 국립고궁박물관 개관과 더불어 현재 고궁박물관에서 소장 관리하고 있는 유물이다.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국립고궁박물관의 소장 유물인 어보(御寶)를 정리해 『조선왕실의 어보』총 3권을 발간했다. 이는 단일 유물 건수로는 국내에서도 보기 힘든 방대한 양이다.


문화재청은 " 거의 완전하게 남아 있는 어보는 전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것으로서 조선왕실의 의례문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번 도록에 실린 어보는 태조의 4대 조상(목조, 도조, 익조, 환조)부터 27대 순종을 비롯해 추존왕(덕종, 원종, 진종, 장조, 문조) 등 왕 34명과 왕비와 계비 48명, 세자와 세자빈까지 316종이다. 이들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유물은 1441년 문종비 현덕왕후의 어보이며, 가장 시기가 늦은 유물은 1928년에 제작된 순종비 순명효황후의 어보이다. 


  
   하나의 어보는 거북이나 용으로 장식된 어보뿐만 아니라, 어보를 넣는 내함인 보통(寶筒), 보통을 넣는 외함인 보록(寶盝), 그리고 어보·보통과 보록을 싸는 보자기와 이를 묶는 끈 등 최소 6개 이상의 다양한 유물이 한 묶음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번에 발간된 책에는, 제1권 어보 316점, 제2권 보록·보통 각 312점 및 자물쇠 열쇠 등, 제3권 보자기, 영자 등 1,824점 등 유물 3,361여 점에 대한 상세한 사진자료와 관련 논문을 수록하였다. 

  어보는 글자를 새긴 방형(方形)의 보신(寶身)과 거북이·용 등을 조각한 보뉴(寶鈕)로 구성된다.  대한제국기로 들어서면서 보뉴의 거북이가 황제의 상징인 용으로 바뀌게 된다. 보신의 바닥에는 글씨를 새겼는데  이를 보면(寶面)이라고 한다. 보뉴에는 도장을 잡기 편하게 하면서도 장식성을 더한 인수(印綬)가 있는데, 인수는 영자, 방울, 술로 만들었다. 

  어보를 넣는 금속 내함인 보통의 내부는 비단으로 배접한 것으로, 다양한 문양들이 있어 조선시대 직물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보록은 잣나무판으로 제작하여, 어피로 표면을 감싸고, 주칠 또는 흑칠을 한 것이다. 뚜껑 중앙에는 자그마한 거북이나 혹은 밤 모양의 손잡이가 달려 있고, 자물쇠 등의 각종 두석 장식들이 달려 있어, 소목 및 장석의 양식 변화에 대한 추이를 파악할 수 있어 가구사와 금속공예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어보 보자기 직물에 사용된 문양은 운보문(雲寶紋 : 구름 문양과 돈, 도끼, 책 등의 상서로운 문양이 어우러진 문양)이 전체 문양의 3분의 2를 차지한다. 또한 완전한 색감이 남아있는 다양한 문양의 직물들은 앞으로 우리나라 섬유 예술사와 염색 기법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며, 조선시대 궁중 보자기의 제작양식과 장엄양식을 확인할 수 있어 그 의의가 크다 하겠다.
 
문화재청은 " 어보라는 왕실의 유물이 이렇게 방대한 양이 현존하고 있는 것은 전 세계에 유례가 없는 것으로, 향후 이 도록 발간을 계기로 문화재 지정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종묘, 종묘 제례 등과 더불어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 등을 통해 조선왕실의 의례생활과 장엄의식, 격조 높은 왕실문화를 널리 알리겠다고 덧붙였다.